오늘방문 : 166 명
전체방문 : 54,760 명
Marathon Online
마라톤 온라인
-
-
풀마라톤 완주가 우리 몸에 어떤 부담을 줄까
관리자
분류5_1
조회114
댓글0

대부분의 달림이들이 최종목표로 하고 있는 42.195km의 풀마라톤. 그러나 어느정도 주력이 있는 달림이들은 한 달에 한 번 풀마라톤에 도전하는 경우도 있다. 과연 풀마라톤 완주후 우리 몸은 어떠한 영향과 부담을 갖게 되는가를 알아본다.

풀마라톤은 우리 몸에 어떠한 부담을 주는가?

탈수증상

풀마라톤 완주가 우리몸에 미치는 부담은 우선 내장에서는 탈수에 의한 영향을 생각할 수 있다. 마라톤을 완주했을 경우에는 달리기중에 부지런히 수분을 섭취해도 골인후에는 출발전보다 약 3kg정도 체중이 감소한다. 이 체중감소의 절반은 땀배출로 인해 몸에서 수분의 소실로 생각된다. 당연히 기온이 높은 여름철의 경우에는 땀배출이 더욱 활발하므로 몸에서 수분의 소실, 체중감소는 더욱 크게 된다. 몸의 발한작용의 가장 큰 목적은 체온의 조절이므로 풀마라톤을 달릴 때 체온상승을 막기 위한 발한작용은 중요하다.

그러나 몸속에 있는 수분량은 체중의 약 60%를 차지하기 때문에 땀배출에 의한 체중감소가 너무 지나치면 몸의 수분량이 감소하고, 더욱 격한 운동활동을 지속하는 경우에는 체온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몸은 위험한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이 때문에 마라톤중에는 갈증이 나기전부터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몸의 수분량이 줄어들면 혈액중의 수분량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 영향으로서는 혈액중에 있는 적혈구나 백혈구 등의 세포성분의 양은 변하지 않아도 혈장이라 불리는 액체성분이 감소하기 때문에 혈액의 농도가 급격히 높아진다. 그 결과 혈액이 뻑뻑한 상태가 되어 혈액순환이 나빠지게 되고, 심할 경우 관상동맥을 막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근육에의 부담

e1d3a17e331dd6927b00a25cb73c9bbf_1700283238_0586.gif

장시간 달리기 동작을 계속함에 따른 영향은 근육에도 나타난다. 우선 근육을 수축시키는 에너지를 만들어낼 때에는 노폐물이 근육에 쌓인다. 이 대표적인 것이 피로물질이라 불리는 유산 혹은 젖산이다. 호흡으로 들이마신 산소를 효율적으로 에너지로 바꾸는 능력(심폐기능에 더해 근육중에서의 에너지를 효율높게 사용하는 능력)이 높은 경우에는 혈액중의 젖산 농도는 낮은 값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달리기의 속도가 빨라지면 효율적으로 산소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이때에 산소를 사용하지 않고 에너지를 만들내야 하는 상황에 된다. 이 에너지를 만들어낼 때의 노폐물이 젖산이다.

따라서 산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달리기의 속도는 개인에 따라 결정되고 이 속도이상의 스피드로 달릴 때에는 근육중의 유산이 만들어져 혈액중의 유산농도도 높아져간다. 이 때문에 근육도 피로가 축적된 상태가 되고, 수축력이나 신축성이 저하되어 근력의 저하나 관절의 움직임이 나빠진다. 그 결과로 달리기중 보폭이 작아지거나 피치가 작아지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피로가 축적된 상태에서 근육을 장시간 계속 사용하면 근육의 세포에도 손상이 발생한다. 근육의 세포가 손상을 입은 경우에 혈액중에 흘러나오기 시작하는 것이 일종의 효소로 불리는 물질이다. 이 효소는 혈액검사에서는 CPK라 불리는 측정치로 나타나고 풀마라톤 완주후에는 통상 배로 상승한다.

뼈와 관절에의 부담

장시간 달리기를 계속하면 관절이나 뼈의 조직에도 영향이 나타난다. 우선 무릎이나 발목 등의 체중을 지지하기위해 관절에서는 착지에 의한 충격이 반복된다. 1분간 피치가 180~200으로 약 4~5시간 계속 달릴 경우에는 200 x 60 x 4 = 48,000회의 착지가 이루어진다. 이 만큼 회수의 착지가 계속되기 때문에 관절에 주어지는 부하는 매우 크고 관절안의 조직가운데 관절연골(관절쿠션)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이 연골은 조직이 정상인 경우는 스폰지에 대량의 수분을 적신 것같은 상태라고 생각하면 된다. 장시간의 달리기에 의해 이 쿠션에 체중이 몇배의 압력이 몇만번에 걸쳐 가해지면 스폰지 가운데의 수분이 빠지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스폰지는 바삭바삭 마른 상태가 되고, 스폰지에 압력이 가해지면 쉽게 움푹 패여진 상태가 되어 압력을 지지할 수 없게 된다. 여기에 달리기의 착지에 의한 충격이 계속 가해지면 통증이 생기거나 연골조직이 파괴된다.

뼈에 가해지는 영향은 여러분 모두가 주지하고 있는 피로골절을 생각할 수 있다. 장거리 연습에서 발생하기 쉬운 부분은 발등뼈에 중족골이라 불리는 부분이다. 더욱 연습의 강도나 양을 늘려가면 정강이의 경골이라 불리는 부분에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여자 장거리선수의 경우에는 골반의 일부분인 치골에도 피로골절이 생기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참고자료 : 마라톤 Q&A(日 미네르바書房), Running Injury.com

0 Comments
Marathon Online
마라톤 온라인